본문 바로가기
인간관계와 심리학

C군 성격장애

by 페브미 2022. 5. 22.
반응형

1. 강박성 성격장애(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강박적 성격장애는 지나치게 완벽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에 집착하며 과도한 성취지향성과 인색함을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성격장애를 말한다. 이런 성격특성으로 인해 효율적으로 일을 처리하지 못할 뿐 아니라 자신과 주변 사람들을 고통스럽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강박적 성격장애자는 지나친 완벽주의적 성향과 세부적인 사항에 대한 집착으로 인해 오히려 비효율적인 삶을 살게 된다. 구체적인 규칙과 절차가 확실하지 않을 때는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많은 시간을 소비하며 매우 고통스러워한다. 어떤 일을 먼저 해야 하고 그 일을 하는 최선의 방법이 무엇인지 결정하지 못해서 결국 어떤 일도 시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상황을 자기식대로 조절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직접적인 표현을 잘하지는 않지만 불안해하거나 분노를 느낀다. 강박성 성격장애자는 감정표현을 억제하는 경향이 강하며 감정표현을 자유롭게 하는 사람과 같이 있으면 불편감을 느낀다. 이성과 도덕을 중요시하며 제멋대로 충동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을 혐오한다. 자신의 행동이 완벽하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는 행동하기를 주저하며 망설이는 경향이 있다. 부드러운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하고 칭찬이나 농담을 거의 하지 않는다. 지나치게 완고하여 융통성과 타협이 필요한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면,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직업적 부적응이 초래되기도 한다. 강박성 성격장애자는 돈에 매우 민감하며 돈 씀씀이가 매우 인색하다. 상당한 경제적 여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만일의 재난상황에 대비하여 저축해두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인해 자신과 가족을 위해서 돈을 쓰지 못한다. 아울러 지금은 필요가 없더라도 약간의 쓰임새가 있는 물건은 미래의 사용을 위해 버리지 못하고 여러 가지 잡동사니를 많이 모아 두는 경향이 있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가족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을 고통스럽게 하며 자주 갈등을 빚게 된다.

강박적 성격장애의 주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사소한 세부사항, 규칙, 목록, 순서, 시간계획이나 형식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일의 큰 흐름을 잃게 됨

- 과제의 완수를 저해하는 완벽주의를 보임

- 일과 생산성에만 과도하게 몰두하여 여가 활동과 우정을 희생함

- 도덕, 윤리 또는 가치문제에 있어 지나치게 양심적이고 고지식하며 융통성이 없음

- 닮아빠지고 무가치한 물건을 감상적 가치조차 없는 경우에도 버리지 못함

- 자신이 일하는 방식을 그대로 따르지 않으면 타인에게 일을 맡기거나 같이 일하려 하지 않음

- 자신과 타인 모두에게 구두쇠처럼 인색하며, 돈은 미래의 재난에 대비해서 저축해 두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함

- 경직성과 완고함을 보임

2. 의존성 성격장애(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의존성 성격장애는 스스로 독립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에 데 과도하게 의존하거나 보호받으려는 행동을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성격장애이다. 이런 성격장애를 지닌 사람은 의존 상대로부터 버림받는 것에 대한 지속적인 불안을 경험하게 되며 지나친 의존 행동으로 인해 상대방을 부담스럽게 하여 인간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의존 상대가 착취적인 사람인 경우엔 일방적으로 이용당하며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가게 된다. 의존성 성격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자신이 혼자서 살아가기에는 너무 나약한 존재라는 생각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어떤 일을 혼자 해결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며 도움을 구한다. 늘 주변에서 의지할 대상을 찾으며 그런 대상에게 매우 순종적이고 복종적인 태도를 나타낸다. 자신을 연약한 모습으로 나타내어, 지지와 보호를 유도하는 경향이 있으며, 힘든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매달리거나 무기력해지며 눈물을 잘 흘린다. 특히 의존 대상으로부터 거절과 버림을 받게 되면, 깊은 좌절감과 불안을 느끼며 적응 기능이 현저하게 와해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의존 대상이 자신을 멀리하는 것에 대해 매우 예민하고 불안해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순종적이고 헌신적인 태도를 나타낸다. 의존 상대와 친밀한 관계가 끝나면 일시적으로 심한 혼란을 경험하지만 곧 다른 의존 상대를 찾아 유사한 의존적 관계를 형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들은 사회적 활동에 소극적이며 책임을 져야 하는 지위를 피하고,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 이르면 심한 불안을 느낀다. 대인관계가 대체로 협소하며 의지하는 몇 사람에게만 국한되는 경향이 있다.

의존성 성격장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타인으로부터의 많은 충고와 보장이 없이는 일상적인 일도 결정을 내리지 못한다

- 자기 인생의 매우 중요한 영역까지도 떠맡길 수 있는 타인을 필요로 한다

- 지지와 칭찬을 상실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타인에게 반대의견을 말하기 어렵다

- 자신의 일을 혼자 시작하거나 수행하기 어렵다

- 타인의 보살핌과 지지를 얻기 위해 무슨 일이든 다할 수 있고 심지어 불쾌한 일을 자원해서 하기까지 한다

- 혼자 있으면 불안하거나 무기력해지는데 그 이유는 혼자서 일을 감당할 수 없다는 과장된 두려움을 느끼기 때문이다

- 친밀한 관계가 끝났을 때, 필요한 지지와 보호를 얻기 위해 또 다른 사람을 급하게 찾는다

- 스스로를 돌봐야 하는 상황에 버려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에 비현실적으로 집착한다

3. 회피성 성격장애(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회피성 성격장애는 다른 사람과의 만남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 때문에 사회적 상황을 회피함으로써 적응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회피성 성격장애를 지닌 사람들을 자신에 대한 타인의 부정적인 평가를 가장 두려워한다. 이들은 자신이 부적절한 존재라는 부정적 자아상을 지니는 반면, 타인을 비판적이고 위협적인 존재라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자신이 한 행위의 적절성을 늘 의심하고 남들의 반응을 예민하게 받아들인다. 이들이 겉으로는 냉담하고 무관심하게 보일 수 있지만, 실은 주변 사람들의 표정과 동작을 주의 깊게 살피는 경향이 있다. 회피성 성격장애자는 낯선 상황이나 새로운 일을 두려워한다. 당혹스러움이나 불안을 피하기 위해 늘 익숙한 환경 내에 머무르려고 한다. 가능하면 사회적 책임을 맡지 않으려 하고 개인적인 대면 상황을 피한다. 이들은 자신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업무를 좋아하며 책임과 적극성이 요구되는 직무를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런 직업적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타인이 자신을 좋아하고 완전히 받아 줄 것이라는 충분한 확신이 없는 한, 인간관계를 피하려고 한다. 그러나 극속수의 친한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에는 따뜻하고 편한 모습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들은 내면적으로 애정에 대한 강렬한 소망을 지니는 동시에 거절에 대한 두려움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심리적인 긴장상태 속에서 불안, 슬픔, 좌절감, 분노 등의 부정적 감정을 만성적으로 지니는 경향이 있다.

회피성 성격장애의 주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비난, 꾸중 또는 거절이 두려워 대인관계가 요구되는 직업 활동을 회피한다

- 호감을 주고 있다는 확신이 들지 않으면 사람과의 만남을 피한다

- 창피와 조롱을 당할까 두려워 대인관계를 친밀한 관계 외에는 제한한다

- 사회적 상황에서 비난당하거나 거부당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사로잡혀있다

- 부적절감 때문에 새로운 대인관계 상황에서는 위축된다

- 자신을 사회적으로 무능하고, 개인적인 매력이 없으며, 열등하다고 생각한다

- 당황하는 모습을 보일까 봐 두려워서 개인적 위험이 따르는 일이나 새로운 활동에는 관여하지 않으려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