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관계와 심리학42

성숙한 인간의 인간관계 행복하고 성숙한 삶의 필수적인 조건으로는 긍정적인 인간관계가 있다.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조건이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깊이 있고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행복하게 사는 것에 중요하다고 입을 모아 말하고 있다. 인간관계는 크게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로 분류할 수 있다. 개인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평등을 중요시하고 자율성과 자기주장을 강조하는 문화인 반면, 집단주의는 상호의존성과 사회적인 관계를 중요시하며 타인에 대한 배려와 협동심을 강조하는 문화이다. 개인의 유능성, 외향성, 전문성, 주도성, 적극성, 자발성, 창의성 등의 특성을 높이 사는 개인주의 문화와 다르게, 집단주의 문화는 개인의 겸손함, 양보심, 온화함, 협동성, 신뢰성, 단결심, 신중함, 과묵함 등의 특성을 상.. 2022. 10. 23.
Maslow의 성숙인격론 Maslow는 인본주의 심리학자로 성숙한 인격을 연구한 대표적인 학자 중 하나이다. 그는 엄청난 업적과 인격적인 성숙을 바탕으로 자아실현을 이룬 세계적인 위인들의 삶을 세세하게 분석하였고 자기실현을 인간 성숙의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 그는 이를 자기실현적 인간이라고 지칭하여 사용하였고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 Maslow는 자기실현을 이룬 성숙한 사람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첫 번째 특징으로는, 현실에 대하여 객관적인 판단능력과 지각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자기 자신, 다른 사람 및 환경적인 상황을 자신이 필요로 하거나 원하는 방식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소망, 욕구, 편견을 제외하고 있는 그대로의 객관적인 현실 자체를 바라본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자신과 타인을 왜곡하여 받아들이.. 2022. 10. 18.
Fromm의 성숙인격론 Fromm은 우리의 인간상을 생산적 인간상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한 학자이다. 여기에서 '생상적'이라는 말은 단순히 무언가를 만들어낸다기보다는 우리의 능력과 잠재력을 충분하게 끌어올려서 이를 바탕으로 활동하는 것을 뜻한다. 그는 인간의 잠재적 성품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하며 이러한 잠재적 인간성을 충분하게 활용하며 사는 삶을 생산적이고 성숙한 삶을 산다고 보았다. Fromm이 주장한 바에 따르면, 우리 인간의 삶은 동물과 같이 하등 동물의 삶과 크게 두 가지가 다르다. 하등 동물과 마찬가지로 인간은 기본적인 생물학적 욕구인 식욕이나 성욕을 지니고 있지만 그들과는 다르게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킬 때 훨씬 융통성 있는 방법으로 충족을 시킨다는 점이다. 더 중요한 차이로는 동물은 소유하고 있지 않은 다양한 심리적인 욕.. 2022. 10. 16.
대인환경의 개선 개인의 심리적인 특성에 의해서 인간관계의 부적응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간혹 자신의 부적응을 인정하지 못하고 환경이 좋지 않아서 그런 거라며 새로운 환경으로 옮겨가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경우 대부분 새로운 환경에서도 앞의 환경과 비슷한 문제로 적응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인간관계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환경의 변화보다는 각자의 심리적인 변화를 통해서 극복할 수 있다. 수도 없이 변하는 여러 가지 환경에 쉽고 빠르게 적응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대화 기회 포착하기, 자기 공개 하기, 경청 및 반응하기, 의사소통을 효과적이게 하기, 자기표현하기, 신뢰 형성, 대인 갈등 해결, 그리고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과 같은 개선방법들은 모두 개인의 변화에 중점.. 2022. 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