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관계와 심리학42

대인신념의 변화 상황이 항상 단순하게만 일어나지 않는다. 자신의 사고 내용을 사실성, 유용성, 논리성의 관점에서 아무리 다시 생각해봐도 자신의 생각이 옳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그 생각에 사실적이고 논리적이라는 확신이 들게 되면, 이에 대안하는 사고를 생각할 수 없다. 이렇게 된 경우에는 자신의 대인 신념을 탐색해보게 된다. 예를 들면, 친구가 너는 너 생각밖에 할 줄 모른다라는 말을 들은 경우에 '이 친구가 나를 비난하면서 의도적으로 무안을 주려고 하는구나'는 것이 분명하고 확실하게 느껴질 수 있다. 당장은 그 친구의 전체적인 발언 내용과 행동을 살펴보면 앞의 해석과 달리 다른 대안적 해석이 불가능하다고 생각될 수 있다. 이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사고 분석을 통해서 자신의 대인 신념을 찾아볼 수 있다. 친구가 .. 2022. 10. 10.
대인사고의 발견 및 합리성 평가 우리는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을 때 항상 긍정적인 감정만을 경험할 수는 없다. 때로는 분노, 불안, 우울, 실망 등과 같이 부정적인 감정 또한 경험하게 된다. 부정적인 감정은 상대와의 관계에 금이 가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감정이 지속해서 쌓이게 된다면 갈등과 다툼으로 변화되어 인간관계를 무너뜨릴 수도 있다. 그렇기에 우리는 부정적인 감정을 잘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는데, 대게 정서 회피적 방법과 정서 직면적 방법으로 구분된다. 정서 회피적 방법은 부정적 정서를 겪은걸 회피하기 위해 다른 활동에 주의를 돌려 기분을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우울하거나 불안할 때, 영화를 보거나 운동을 하거나 혹은 잠을 자는 것이 하나의 예이다. 이렇게 부정적인 정서를 회피하고 .. 2022. 10. 9.
효과적인 협상 방법 때로는 협상하는 과정에서 갈등이 더 증폭되는 경우가 생기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그렇기에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갈등적인 상황에서 양쪽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해결 방법을 찾기 위한 협상은 쉬운 일이 아니다. 협상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나가 갈등을 해결하는 기술은 매우 중요한 대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Johnson(2000)이 말하는 효과적인 협상 방법을 바탕으로 알아보자. 효과적인 협상을 하기 위해서는 두 사람이 서로 충분하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진솔하게 서로의 마음을 털어놓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대화가 중간이 끊기지 않고 다른 사람의 개입을 피할 수 있는 상황 안에서 협상을 하는 것이 좋다. 더욱이 협상의 목표는 서로 승부나 시시비비를 가리는 것이 아니.. 2022. 10. 8.
대인갈등 해결하기 인간관계에는 피치 못하게 다른 사람과 생각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의 갈등과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생겨난 대인 갈등을 잘 해결하지 못한다면, 서로에게 부정적인 감정이 피어나게 되어 인간관계가 약화되거나 끊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갈등이 잘 풀어지게 되면, 서로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고, 나중에 생길 갈등을 예방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어서 오히려 서로의 관계를 더 끈끈하게 만들 수도 있다. 인간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충족시키고자 하는 욕구를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욕구의 충족을 위한 목표를 갖게 된다. 여기서 각자 원하는 욕구와 목표가 서로 다르다면 대립하기도 한다. 연인관계에서 한 사람은 연락도 자주 하며 만나길 원하지만, 다른 한 사람은 연인과 자주 만나는 것보단 개인의 시간을.. 2022. 1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