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관계와 심리학

긍정감정 표현하기

by 페브미 2022. 10. 1.
반응형

 인간은 누구나 자신을 좋아하는 사람을 좋아하게 되기 마련이다. 자신에게 호감과 애정을 표현하는 사람을 좋아하며 신뢰하게 된다. 이처럼 인간관계는 서로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주고받으면서 발전된다. 인간관계는 이렇게 언뜻 보면 단순해 보이지만 상대방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일이 쉬운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렵게 느껴지기도 한다. 상대방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일이 어색하고 괜히 민망하게 느껴질 때도 있고, 상대방이 나의 호감과 애정의 표현을 받아주지 않으면 어떡하나 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느낄 때도 있다. 간혹 나의 긍정적인 감정의 표현을 아첨 행위로 생각하며 비굴하다는 시선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상대방에 대한 진실된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여 전달하는 것은 인간관계를 발전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기에 전혀 어려워할 필요가 없다.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일은 기술과 노력을 요하는 대인 기술인데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여러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우선 상대방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것이 먼저 진행되어야 한다. 감정의 표현은 거짓된 것이 아닌 진실된 것이어야 한다. 거짓으로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언사와 다른 행동을 보이게 될 뿐만 아니라 이는 상대방도 쉽게 알아차릴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신뢰감을 떨어트리는 일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대방에 대해서 자신이 느낀 진정한 감정을 깨닫고 이를 효과적으로 상대에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사람은 상대방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지 않았기 때문에 표현할 것이 없다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인간은 누구나 약점과 단점을 갖고 있으며 반대로 강점과 장점 역시 지니고 있기에 각자 다양한 매력을 지니고 있기 마련이다. 단지 우리가 상대방의 그러한 좋은 측면을 보려고 노력하지 않기 때문에 보지 못하고 지나쳤을 뿐이다. 인간관계는 삶의 과정에서 만나는 사람들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그 기쁨을 함께 나눈 것에 중요한 의미가 담겨있다. 아름다움은 대상 자체에 존재한다고 말하기보다 우리가 발견하여 느낀다고 말할 수 있다. 인간에 대해서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관점만을 보는 것은 인간의 아름다움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중요한 장애 요인 중 하나이다. 우리는 더 나은 인간관계를 위해서 상대방의 긍정적이고 좋은 면을 발견하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둘째,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그런 감정을 먼저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자각은 자신이 느낀 감정을 의식하여 포착하고 어떤 것인지 구체화하는 것이다. 상대방에게 느낀 긍정적인 감정을 구체적으로 자각하면서 그에 대한 표현과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타인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은 대부분 확실하게 느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잘 자각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상대방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에 주의를 기울이며 그것을 구체적으로 어떤 감정인지 의식하며 깨달으려고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상대방의 옷차림, 외모, 행동, 말의 내용과 방식 등에 대해서 느껴지는 감정을 언어로 표현이 가능하도록 느껴보는 것이 중요하다. 상대방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에는 아름다움, 우아함, 멋짐, 신선함, 생동감, 활기찬, 부드러운, 편안함, 포근함, 즐거움, 기쁨, 고마움, 듬직함 등과 같은 다양한 느낌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런 감정을 자각하고 구체적인 언어로 표현하여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긍정적인 감정을 상대방에게 표현하는 것은 자연스럽고 성숙한 행동이라는 생각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상대방에게서 느낀 긍정적인 감정을 그 대상에게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은 환심을 사기 위해 하는 행동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상대방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한다고 해서 속없는 사람이 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이러한 표현은 상대방은 기분 좋은 일로 받아들이게 된다. 입장을 바꾸어 생각해보면, 좀 더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상대방이 나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할 때 나는 어떤 기분을 느끼는가? 나를 좋게 평가하고 호감을 느끼는 사람이 있다면 우리에게는 기분 좋은 일로 다가올 것이고 커다란 응원을 받은 기분일 것이다. 또한 우리는 그렇게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해주는 사람에게 자연스럽게 호감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긍정적인 감정을 서로 주고받는 과정을 통해서 인간관계를 발전시켜나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대방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구체적인 방법으로 전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상대방에게 표현하지 못하여 전달되지 않은 감정은 서로의 관계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한다. 아무리 큰 사랑을 마음에 품고 있더라도 상대방에게 전달되지 않으면 의미가 전혀 없는 법이다. 이런 점에서 긍정적인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여 전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대인 기술 중 하나이다.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상대방에 대한 나의 감정을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도록 표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긍정적인 감정을 상대도 확실히 와닿도록 솔직하고 진지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장되거나 장난스러운 표현은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놀리는 행위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명확하고 구체적인 어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이고 그 뜻을 정확하게 표현할수록 전달 효과는 증폭된다. 명확한 어휘를 사용하여 표현한다면 자신의 감정을 상대방에게 정확하게 전달하기 때문에 감정의 교류를 원활하게 만들어둔다.

 셋째, 상대방에 대한 판단을 전달하는 것보다는 나의 느낌을 중심으로 표현하는 것이 더 용이하다. 한마디로, 상대방에게서 느낀 나의 감정을 긍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넷째, 긍정적인 감정을 느낀 이유나 근거를 함께 전달하는 것도 표현의 신뢰도가 상승한다. 막연하게 긍정적인 감정을 느꼈다고 말하기보다는 구체적으로 어떤 행동과 모습에서 그런 감정을 느끼게 되었는지 표현해주는 것이 좋다.

 긍정적인 감정을 언어적으로 표현할 때는 어휘의 선택이나 언어의 구사 방법에 따라 달라지기에 어떻게 표현하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런 표현방식에 따라서 진실성과 신뢰도 및 호소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긍정적 감정은 언어적 표현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표현을 통해서 전달이 가능하다. 관심과 애정을 담은 눈빛, 표정, 자세, 몸동작 등과 같이 다양한 비언어적 표현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훨씬 호소력 있고 긍정적인 감정이 전달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선물을 하거나, 도움을 주고 혹은 식사를 대접하는 등 행동을 통해 호감을 전달하면서 긍정적인 감정을 같이 표현한다면 그 전달 효과는 배가 된다. 이렇게 언어적 표현과 함께 비언어적 표현을 통해 상대방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센스 있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

'인간관계와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탁하기와 거절하기  (1) 2022.10.03
부정적인 감정 표현하기  (0) 2022.10.02
효과적인 의사소통하기  (0) 2022.09.28
반응하기(공감하기)  (0) 2022.09.26
경청하기  (2) 2022.09.25

댓글